로그인|회원가입|고객센터|HBR Korea
Top
검색버튼 메뉴버튼

스몰딜 M&A의 부상과 성공 전략

피인수기업 기술-재무 정밀 실사 필수
인수자가 원하는 시너지 구체적 명시를

홍승환,정리=백상경 | 421호 (2025년 7월 Issue 2)
Article at a Glance

거래 규모가 작은 인수합병(M&A)을 가리키는 스몰딜이 글로벌 M&A 시장의 주류로 떠올랐다. 경영 환경의 불확실성이 날로 커지는 가운데 적은 리스크로 새로운 성장 기회를 잡으려는 많은 기업이 빅딜이 아닌 스몰딜을 적극 활용하고 있다. 스몰딜은 거래 금액이 작아 실패했을 때 타격이 적고, 새로운 혁신 기술 기업을 조기에 타기팅하기 용이하며, 인수 후 조직 통합 난이도도 상대적으로 낮다. 하지만 스몰딜을 성공으로 이끌기 위해선 분명한 전략적 목표가 필요하다. 기술 확보, 시장 진입, 가치사슬 통합 등 명료한 전략적 가치를 설정하고 스몰딜을 추진해야 한다. 기술력 검토, 시장 잠재력 분석, 조직문화 적합성 평가 등 철저한 사전 준비와 실사도 필수다. 과도한 프리미엄을 지불하지 않기 위해 적정한 가격과 거래구조를 설계하고 인수 이후 통합 전략을 체계적으로 수행하는 것도 중요하다.



GettyImages-1409270368


스몰딜(Small Deal) 시장은 구조적 변화와 기술적 혁신이 만나는 지점에서 새로운 성장 동력으로 부상했다. 2025년 현재, 거래액 500억 원 이하의 스몰딜1 은 국내 인수합병(M&A) 시장의 주류로 자리 잡았다. 기업들의 사업 경쟁력 강화 및 신사업 진출을 위한 핵심 전략으로 활용된다. 단순한 시장 트렌드를 넘어서 기업 성장의 필수 전략이다.

스몰딜의 성공 요인은 명확한 전략적 목표 설정, 전문가 활용을 통한 철저한 사전 준비 및 실사, 적정한 가격과 거래 구조화, 효과적인 통합 전략 수행으로 요약할 수 있다. 특히 신사업 진출 진입, 밸류체인 통합 등의 명확한 목표를 가진 인수합병(M&A)이 성공 확률이 높다. 휴온스의 사업다각화를 위한 휴메딕스(필러), 블러썸엠엔씨(에스테틱), 팬젠(바이오의약품) 등의 인수 사례나 무신사의 사업 역량 강화를 위한 이앰엠로지스(풀필먼트), 엑스투소프트(IT), 이누인터내셔날/어패럴(브랜드/생산유통) 인수 사례에서 확인할 수 있다. 이들 사례는 스몰딜이 단순히 기업의 규모 확대가 아니라 질적 성장과 경쟁력 강화 측면에서 효과적 수단임을 증명한다.

향후 스몰딜 시장은 AI와 디지털 전환 가속화, 중소벤처기업 세대교체 본격화 등에 힘입어 폭발적인 성장이 예상된다. 특히 첨단 제조기술, AI 융합 서비스, 바이오·헬스케어 등의 영역에서 혁신적인 스몰딜 사례들이 등장할 것으로 전망되며 이는 국내 기업들의 글로벌 경쟁력 강화에도 기여할 수 있다. 다만 시장의 건전한 발전을 위해서는 중소벤처기업의 재무 투명성 제고, M&A 전문 서비스의 질적 향상, 정책적 지원 확대 등의 과제가 해결돼야 한다.

15,000개의 아티클을 제대로 즐기는 방법

가입하면, 한 달 무료!

걱정마세요. 언제든 해지 가능합니다.

  • 홍승환seunghwan.hong@pwc.com

    삼일pwc 파트너

    홍승환 파트너는 한국외대 경영학과를 졸업하고 2007년 삼일회계법인에 입사한 후 18년 이상 재무자문 업무를 수행하고 있다. 다수의 중소형 M&A를 수행했으며 삼일PwC에서 Middle Market group Service Leader를 맡고 있다. 중소벤처기업부와 함께 M&A에센스, M&A사례집, M&A가이드북 등의 저서를 발간한 바 있다.

    이 필자의 다른 기사 보기
  • 정리=백상경baek@donga.com

    동아일보 기자

    이 필자의 다른 기사 보기
인기기사
DBR AI

아티클 AI요약 보기

30초 컷!
원문을 AI 요약본으로 먼저 빠르게 핵심을 파악해보세요. 정보 서칭 시간이 단축됩니다!

Clic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