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회원가입|고객센터|HBR Korea
Top
검색버튼 메뉴버튼

트렌드 ON AIR

명품 브랜드는 어떻게 수백 년 동안 새로운 세대를 사로잡았을까?

지희수 | 2025.03.31

패션 업계의 유행은 짧다. 특정 브랜드나 스타일이 유행의 급물살을 타고 지하철이나 거리를 물들이다가도, 얼마 안 가 새로운 트렌드가 밀려와 금세 종적을 감춘다. 한동안 겨울철만 되면 발목까지 덮는 롱패딩이 유행하다 올해 들어 ‘얼죽숏’이라는 신조어와 함께 숏패딩이 유행하는 현상이 좋은 예다.

시시각각 변하는 트렌드의 풍파에 상관없이 대중의 소유욕을 불러일으키며 열망의 대상이 되는 브랜드들이 있다. 루이비통, 구찌, 샤넬, 셀린느 등 명품 가방 수입액은 2018년 2211억 원에서 지난해 7918억 원으로 4년 사 이 200% 넘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소위 ‘명품’ 혹은 ‘럭셔리’로 칭해지는 이 브랜드들은 어떻게 몇백 년이 지나도록 새로운 세대를 사로잡고 있을까.

<럭셔리 브랜드 인사이트>의 저자 박소현은 이런 지점을 연구한 패션학 박사이자 칼럼니스트다. 그는 럭셔리 브랜드를 ‘소유’의 대상이 아닌 ‘배움’의 대상으로 발상을 전환해 접근할 것을 권한다. ‘고전을 읽듯이, 이제는 럭셔리를 읽어라!’라고 말하는 그와 이야기를 나눴다.

브랜더쿠_명품브랜드_1

지난 11월에 출간된 도서. 럭셔리 브랜드의 정의와 탄생 배경부터 수세기에 걸친 경영 노하우, 디자인 철학, 브랜딩의 메커니즘까지, 모든 것을 망라했다. 패션 분야뿐 아니라 다양한 분야의 럭셔리 브랜드 사례가 담겨있다.



브랜더쿠. ‘고전을 읽듯이, 럭셔리를 읽어라!’라는 메시지가 흥미롭다. 럭셔리 브랜드와 고전을 어떻게 연결 지을 수 있는가.

박소현 작가. 둘 모두 오랜 시간 동안 살아남은 ‘생명력’이 있다. 셰익스피어, 손자병법, 군주론 등과 같은 고전은 당시 시대를 풍미하던 화두를 던지고, 그에 대한 통찰을 준다. 교훈을 주는 이야기도 있고 깨달음을 얻게 해주는 이야기도 있다. 인간이 으레 겪는 문제는 세월이 지나도 변하지 않는지, 이 이야기들은 인문학적 보편성을 토대로 수 세기를 통과해 우리에게까지 왔다.

15,000개의 아티클을 제대로 즐기는 방법

가입하면, 한 달 무료!

걱정마세요. 언제든 해지 가능합니다.

  • 필자 지희수 | 사진출처 다반·라이엇게임즈·시놀라

인기기사

질문, 답변, 연관 아티클 확인까지 한번에! 경제·경영 관련 질문은 AskBiz에게 물어보세요. 오늘은 무엇을 도와드릴까요?

Clic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