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랜드 딥다이브
몇 년 전까지만 해도 수제 맥주는 국내 주류 트렌드를 이끌었다. 수제 맥주, 즉 크래프트 비어는 대기업이 아닌 개인이나 소규모 양조장이 자체 개발한 제조법에 따라 만든 맥주를 칭한다. 자본에 구애받지 않고 독특한 스타일로 만드는 게 가장 큰 특징이다.
주류법이 개정돼 유통 장벽이 허물어진 2014년을 기점으로, 제주맥주, 세븐브로이 등 수제 맥주 프랜차이즈 브랜드가 연이어 등장했다. 이들은 '4캔 만원' 시장을 형성하며 편의점 주류 코너에서 비중을 점점 넓혀갔고, 코로나 ‘홈술’ 유행과 맞물려 전성기를 맞이했다. 2020년 세븐브로이와 대한제분이 협업한 곰표 밀맥주는 누적 판매 5800만 캔을 달성하며 주류 업계에 새로운 역사를 써내기도 했다.
하지만 최근 들려오는 수제 맥주 시장의 전망은 다소 어둡다. 위스키, 하이볼 등으로 주류 트렌드가 이동한 데다, '수제 맥주=편의점 맥주'로 이미지가 굳어진 뒤 쏟아지는 무분별한 컬래버레이션에 소비자들이 염증을 느꼈다. 오리지널비어컴퍼니의 송태훈 마케팅팀 팀장은 "수제 맥주에 대한 소비자들의 기대가 떨어지는 걸 느꼈다"고 말했다.
오리지널비어컴퍼니는 이러한 수제 맥주의 침체기 속에서 2023년 전년 대비 182%의 매출 성장과 200% 이상의 판매량 성장을 보여 냈다. 이들의 전략은 바로 '트렌드를 쫓지 않는 것'. 치열한 홍보 경쟁으로 소문난 업계인 만큼 다소 엉뚱하게 들리기도 한다. 패키징부터 유통, 마케팅까지 모든 의사결정 과정에서 ‘맥주의 맛’이라는 본질적인 가치를 최우선으로 두는 수제 맥주 브랜드, 오리지널비어컴퍼니를 만나 이야기를 들었다.
가입하면, 한 달 무료!
걱정마세요. 언제든 해지 가능합니다.
회원 가입만 해도, DBR 월정액 서비스 첫 달 무료!
15,000여 건의 DBR 콘텐츠를 무제한으로 이용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