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회원가입|고객센터|HBR Korea
Top
검색버튼 메뉴버튼

글로벌 진출·협업

美에너지장관 “알래스카 LNG 개발, 韓日기업 참여 조율중”

동아일보 | 업데이트 2025.09.25
크리스 라이트 미국 에너지부 장관. 리버티에너지 홈페이지
크리스 라이트 미국 에너지부 장관은 24일(현지시간)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대선 공약 중 하나인 알래스카 액화천연가스(LNG) 프로젝트에 한국, 일본 기업 등과 참여를 조율 중이라며 1년 안에 착공에 들어갈 것이라고 했다.

라이트 장관은 이날 뉴욕 외신센터에서 진행한 기자회견에서 “우리는 일본 기업, 한국 기업, 아시아 기업 등 여러 기업과 (사업 참여)를 협의 중”이라고 말했다.

이어 “알래스카 LNG 사업의 가능성은 상당히 강해 보이며, 이 프로젝트는 향후 12개월 내로 착공돼야 한다고 생각한다”며 “건설에는 몇 년 걸리겠지만, 가장 큰 장점은 동아시아의 일본 같은 우리의 훌륭한 동맹국까지 선박 운송 거리가 매우 짧다는 것이다. 결국 가장 중요한 것은 그곳에서 생산될 가스는 다른 어떤 LNG 수출 터미널에서 나오는 가스보다 비싸지 않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알래스카 LNG 개발 사업은 알래스카 북부 프루도베이 가스전에서 추출한 천연가스를 남부 니키스키까지 수송하기 위해 1300km에 달하는 파이프라인을 건설하고 가스를 실어 나를 앵커리지에서 액화플랜트를 건설하는 초대형 프로젝트다. 건설에 투입되는 초기 투입 비용만 450억 달러(약 64조 원)에 이를 것으로 전망된다.

문제는 가스관 설치다. 척박한 기후로 인해 송유관을 설치하는 건설 난이도가 상당히 높으면서도 환경 운동가들의 공사 방해 등도 염두에 둬야 한다. 워낙 초대형 공사이다 보니 자칫 공사 기간이 예상치 못한 변수로 길어지게 되면 공사비는 천문학적으로 늘어날 가능성이 있다.

라이트 장관은 이 같은 우려를 인식한 듯 파이프라인 설치가 예상보다 쉬울 것이라고 설명했다. 라이트 장관은 “다행스럽게도 우리는 50년 전 석유 수출을 위해 알래스카 북부 사면에서 해안 지역까지 석유 파이프라인을 건설했다. 2년 만에 건설했다”며 “가스 파이프라인은 동일한 경로를 따라갈 것이어서 도로와 지원 시설, 파이프라인 경로는 대부분 이미 있다. 따라서 첫 파이프라인을 건설할 때보다 훨씬 수월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프로젝트에 자본을 댈 주체로는 “미국 기업과 아시아 기업이 혼합된 형태가 될 가능성이 있다고 확신한다. 미국 에너지부가 신용 지원 등으로 일부를 지원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라이트 장관의 언급대로 일부 한국 기업은 이 프로젝트 참여를 검토하고 있다. 최근 포스코인터내셔널은 알래스카 가스라인 개발공사(AGDC)와 함께 민간 투자자로 참여한 에너지 기업 글렌파른과 LNG 도입 등 예비 계약을 체결하면서 한국 기업 중 가장 먼저 프로젝트 참여 검토를 공식화했다.

포스코 그룹사 중 하나인 포스코이앤씨도 국내외 LNG 터미널 건설 경험이 있어 이 사업을 검토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김형민 기자 kalssam35@donga.com

인기 뉴스

질문, 답변, 연관 아티클 확인까지 한번에! 경제·경영 관련 질문은 AskBiz에게 물어보세요. 오늘은 무엇을 도와드릴까요?

Clic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