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분기 매출 24조4489억·영업이익 11조3834억 원
분기 최대 영업이익 실적
영업이익 전년比 62%↑… 영업이익률 47%
HBM 등 고부가제품 판매 확대 영향
6세대 HBM 등 내년 수요 확보 순항
업계 “경쟁사 시장 진입해도 영향 제한적일 것”
SK하이닉스 이천 사업장(행복문)
SK하이닉스가 창사 최초로 10조 원 넘는 분기 영업이익을 기록해 실적 릴레이를 이어갔다. 고부가제품인 HBM을 앞세워 수익성을 극대화했고 내년 사업 준비까지 순항 중이다.
SK하이닉스는 올해 3분기 매출 24조4489억 원, 영업이익 11조3834억 원의 경영실적을 기록했다고 29일 밝혔다. 작년 3분기와 비교해 매출은 39% 늘었고 영업이익은 62% 증가했다. 매출 증가율을 웃도는 영업이익 성장률로 수익성까지 개선된 모습을 보였다. 영업이익률은 47%로 지난 2분기(41%)를 넘어섰다.
D램과 낸드 가격 상승이 본격화되고 인공지능(AI) 서버용 고성능 제품 출하량이 증가하면서 이번 실적을 주도했다는 분석이다.
SK하이닉스 관계자는 “AI 인프라 투자 확대로 메모리 전반에 대한 수요가 급증했다”며 “HBM3E 12단과 서버향 DDR5 등 고부가제품군 판매 확대로 지난 분기에 기록한 역대 최고 실적을 다시 한 번 넘어섰다”고 설명했다. 이어 “특히 AI 서버향 수요가 늘면서 128GB 이상 고용량 DDR5 출하량이 전 분기 대비 2배 이상 증가했고 낸드에서도 가격 프리미엄이 있는 AI 서버향 기업용 SSD(eSSD, enterprise SSD) 비중이 확대됐다”고 강조했다.
이번 실적을 바탕으로 3분기 말 현금성 자산은 전 분기 대비 10조9000억 원 늘어난 27조9000억 원으로 집계됐다. 차입금은 24조1000억 원으로 3조8000억 원 규모 순현금체제 구축에 성공했다.
향후 전망도 긍정적인 분위기다. SK하이닉스는 AI 시장이 추론 중심으로 빠르게 전환되면서 AI 서버 연산 부담을 일반 서버 등 다양한 인프라로 분산하려는 움직임이 나타나고 있다고 분석했다. 이에 따라 고성능 DDR5와 eSSD 등 메모리 전반으로 수요가 확장될 것으로 내다봤다. 여기에 최근 주요 AI 기업들이 전략적 파트너십을 잇달아 체결하면서 AI 데이터센터 확장 계획을 발표하는 흐름도 긍정적인 요인으로 보고 있다. HBM뿐 아니라 일반 서버용 메모리를 포함한 다양한 제품군에 걸쳐 고른 수요 성장을 기대할 수 있다는 평가다.
SK하이닉스 6세대 HBM(HMB4) 샘플
SK하이닉스는 안정적으로 양산 중인 최선단 10나노급 6세대(1c) 공정으로 전환을 가속화해 서버와 모바일, 그래픽 등 ‘풀라인업(Full-line up)’ D램 제품군을 갖추고 공급을 확대해 고객 수요에 대응한다는 전략이다. 낸드에서는 세계 최고층 321단 기반 TLC, QLC 제품 공급을 늘려 고객 요구에 신속하게 대응한다는 계획이다.
내년 사업도 순항 중이라는 평가다. 주요 고객과 내년 HBM 공급 협의를 모두 완료했다고 한다. 특히 지난달 개발을 완료하고 양산체제를 구축한 6세대 HBM4는 고객 요구 성능을 모두 충족했다고 강조했다. HBM4의 경우 4분기부터 출하를 시작해 내년부터 본격적으로 판매 확대에 나선다는 계획이다. 이와 함께 급증하는 AI 메모리 수요로 D램과 낸드 전 제품에 대한 내년 고객 수요를 모두 확보했다고 전했다.
SK하이닉스 청주 M15X 공장(팹) 조감도
SK하이닉스는 고객 수요에 대응하기 위해 최근 클린룸을 조기 오픈하고 장비 반입을 시작한 청주 M15X 공장을 통해 추가 생산능력을 빠르게 확보하고 선단공정 전환을 가속화한다는 방침이다. 내년 투자 규모도 올해보다 증가할 전망이다.
김우현 SK하이닉스 부사장(CFO)은 “AI 기술 혁신으로 메모리 시장이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전환하면서 전 제품 영역으로 수요가 확산되기 시작했다”며 “앞으로도 시장을 선도하는 제품과 차별화된 기술 경쟁력을 바탕으로 고객 수요에 대응하면서 AI 메모리 리더십을 공고히 지켜가겠다”고 말했다.
삼성전자의 HBM3E 제품 공급 본격화와 관련해 업계에서는 SK하이닉스 실적에 미치는 영향이 제한적일 것으로 보고 있다. 여전히 HBM 제품 수요가 공급 물량보다 많고 시장이 확대되는 추세이기 때문에 올해나 내년에 경쟁 업체가 시장에 진입하더라도 기존 업체 물량을 흡수하거나 수주 경쟁이 펼쳐질 가능성은 낮다는 분석이다.
김민범 기자 mbkim@donga.com
ⓒ dongA.com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인기 뉴스